분류 전체보기
-
Day 17 재일조선인 4세 이야기카테고리 없음 2021. 8. 17. 00:14
김경희(가명) 자매는 일본동포기업에 다니면서 학업을 병행하고 있다. 조선학교에 못가는 아이들을 위해 ‘우리말’ 과 ‘우리민족문화’를 가르쳐주는 활동을 수년째하는 재일조선인 4세이다. 재일조선인 1세대인 할아버지 고향은 경남 밀양, 재일조선인 3세인 부모님은 몇 년 전 고향을 찾아가기 위해 국적을 대한민국으로 바꾸고 고향을 방문했지만, 김경희 자매의 언니는 아직까지 무국적 신분으로 일본에서 살고 있다. 일본에는 아직까지 무국적 재일조선인이 약 20만 명가량 된다. 60만 재일조선인 대부분의 고향은 남쪽, 그들은 아직도 남북이 갈라지기 전 ‘하나였던 조선’을 갈망하고 있다. 김경희 자매의 소원 중 하나는 가족 모두가 고향인 경남 밀양에 방문하는 것이다. 북한에는 할머니의 여동생이 살고 있다. 할머니께서 건강..
-
Day 16 DMZ(Demilitarized zone), 강화제적봉평화전망대New Korea를 위한 21일 기도 2021. 8. 16. 00:06
분단의 상징이자 지리적인 분열의 현장에 서서 나라와 민족의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과 단절된 우리를 하나되게 하신 예수그리스도의 마음으로 남과 북에 평화와 화해가 임하도록 기도하는 사람을 하나님은 우리 가운데 찾으신다. 한반도의 남쪽에서 북녘땅을 바라보며 기도할 수 있는 지점과 전망대 16여 곳 중에서 ‘강화평화전망대’를 소개한다. 강화평화전망대는 인천광역시 양사면 철산리 제적봉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서 2.8km의 거리에 황해북도 개풍군의 북녘 주민들의 실생활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 ‘강화제 적봉평화전망대’와 ‘파주오두산통일전망대’를 제외한 다른 전망대에서는 비무장지대의 풍경과 휴전의 현 상황을 볼 수 있지만, 주민들의 실제생활 모습을 보기는 어렵다. 2008년 9월 5일 개관 이후 황해북도 연백과 ..
-
Day 15 북한의 농업과 식량카테고리 없음 2021. 8. 15. 00:01
북한의 식량부족은 위급한 문제이다. 이는 북한의 열악한 농업 생산기반과 관련이 있다. 국토의 80%가 산악지대로 인구에 비해 농지가 협소하여 전체 면적의 약 17%만 경작이 가능하다. 무리한 경작지 개간으로 산림이 많이 황폐화되었다. 이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가뭄과 홍수 피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부식질 함량이 적고 산성화된 토양은 중화를 위한 많은 양의 화학 비료 사용으로 지력이 약화하였다. 또한 에너지 부족으로 농업용수와 관개시설이 미비하고, 사회주의 계획 경제의 집단 체제로 영농의욕은 낮다. 더욱이 2019년 말을 시작으로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COVID-19 팬데믹은 북한내에 이미 장기간 존재하는 불안정한 식량 문제를 가중시켰다. 북한은 2020년 상반기에 사람과 물자간의 이동을 제한한 ..
-
Day 14 북한 기독교의 상황 2021카테고리 없음 2021. 8. 14. 00:52
전 세계적으로 기독교를 박해하는 나라들이 증 가하고 있으며, 그 박해의 방법과 강도도 점점 심해지고 있다. 매일 하루 열세명의 기독교인들 이 순교를 당하고, 열두 개의 교회 건물이 공격을 받으며, 열두 명의 기독교인이 부당하게 체포되거나 투옥당한다. 그리고 매일 다섯 명이 납치된다고 한다. 오픈도어즈(Open Doors) 선교 회는 와치리스트(WWL: World Watch List)를 매년 조사하여 전 세계의 기독교 박해 소식을 전하고 있다. 2021년 보고서의 내용은 60개 이상의 국가에 있는 오픈도어즈 직원들이 2019년 11월 1일부터 2020년 10월 31일까지의 기간을 추하여 작성한 보고서에서 의해서 수집되었다. 작년 보고서에는 2007년 높은 수준의 박해를 경험하는 기독교인들이 1억 명에 불과..